본문 바로가기

Study/Raspberry pi

[ 라즈베리파이 , Raspberry Pi ] : OSX, HDMI 없이 terminal 로 제어하기 (공유기로)

[ 라즈베리파이 , Raspberry Pi ] : HDMI 없이  terminal 로 제어하기 

(공유기로)


# 시작한 이유 ?

1. 나에겐 가진거라고는,,, 맥북 프로 밖에 ... ㄱ-

2. HDMI 케이블도 없음 .. ㄱ-

3. 안 쓰는 모니터도 없음 .. ㄱ-

4. 있는거라는고는 공유기밖에 없음 .. ㄱ-

==> "모니터,케이블 없이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?" 생각했다가 이 방법을 알게 돼서 시작했다!! 


# 준비물

1. 노트북

2. 공유기 : 노트북과 Raspberry pi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.

3. LAN 선 : 공유기와 Raspberry pi를 연결한다.

4. terminal : SSH를 통해 접속할 것이다.

5. Who's on my WiFi : OS X App.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 & IP 주소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음

- (무료)APP Store 또는 http://whoisonmywifi.com 에서 다운로드 가능함


# NOW START !!!

1. 사용하는 노트북을 공유기에 연결한다


2. 라즈베리 파이와 공유기를 LAN선을 통해 연결한다.


3. 'Who's On My WiFi' 를 실행하여 연결된 장비(노트북, 핸드폰 등등) 외의 장비인 라즈베리 파이를 찾는다.

- 'Connected'의 상태가 'Yes' 인 것들 중에 라즈베리 파이로 추측이 되는 것에 연결하면 됨

- 영 모르겠으면 그냥 다 해보세요! 


4. SSH로 라즈베리 파이에 연결한다. : 'ssh pi@라즈베리파이의ip주소' ex) ssh pi@192.168.1.37

- 본인의 경우 '192.168.1.37' 이 라즈베리 파이의 ip주소다! 

- 올바르게 연결이 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출력이 뜨므로, 비밀번호를 입력하면된다.

- Default Password of pi : raspberry


5. 연결 끝!!!



# 주의사항

1.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고정 IP주소로 설정하기!

: 라즈베리파이를 공유기에 연결할 때마다 IP가 바뀌면 귀찮으므로,,, 고정 IP 주소로 설정한다면 편하다는것!

2. SSH를 통해 접속하므로 GUI(Graphic User Interface)가 아닌 CUI(Comman User Interface)만 가능하다는것!